
내고향뉴스 김익성 기자 | 전북특별자치도의회 문화안전소방위원회 한정수 의원(익산 4)은 12일 열린 제423회 정례회 도민안전실 소관 행정사무감사에서 기후위기 시대에 재난 대응은 복구 중심의 행정이 아니라, 데이터 기반의 선제적 예방 체계로 전환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도내 인명피해우려 취약지역은 급경사지 179개소, 침수취약시설 79개소, 자연재해위험개선지구 78개소 등 총 575개 지역에 달한다. 이들 지역은 집중호우, 태풍 등으로 매년 인명과 재산 피해의 위협을 받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전북자치도의 재해예방사업은 여전히 시설보강과 물리적 복구 중심으로 이뤄지고 있다.
이에 한정수 의원은 “사전 예측과 선제적 대응을 위한 데이터 기반 관리 체계가 미흡하다”며, “기후위기 시대에 예측 가능한 시스템 구축이 필수적이며, 첨단 기술을 활용한 예방 중심 행정으로 전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특히, 한의원은 ‘디지털 트윈’기술의 도입 필요성을 언급했다. “디지털 트윈은 현실 세계를 가상 공간에 그대로 복제해 다양한 재해 시나리오를 모의 실험할 수 있는 기술로, 온도ㆍ습도ㆍ강우량 변화에 따른 침수예측, 폭염ㆍ미세먼지 대응, 블랙아이스 사고 예방 등 다양한 시뮬레이션이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또한 “LX공사가 이러한 기술을 탑재한 디지털 국토 플랫폼을 운영 중이며, 본사가 전북혁신도시에 위치해 있어 전북자치도가 협력하기에 유리한 환경”이라며, “도민안전실이 LX공사와 협력해 디지털 트윈 기반 재난예방 시뮬레이션 사업을 추진한다면, 피해 발생 이전에 위험지역을 예측하고, 선제적으로 대응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제안했다.
끝으로 한의원은 “도민안전실의 역할은 단순한 복구가 아니라 도민 생명과 안전을 지키는 컨트롤타워가 되어야 한다”며, “신속한 복구도 중요하지만, 이제는 사람이 다치지 않게 하는 행정으로 방향을 바꿔야 한다”고 주장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