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내고향뉴스 김익성 기자 | 부산광역시의회 건설교통위원회 박진수 의원(국민의힘, 비례대표)은 7일 열린 부산교통공사 행정사무감사에서 “도시철도 역사 내 수유실이 법적 의무시설임에도 불구하고 이용 편의와 접근성이 여전히 부족하다”며 시설의 질적 개선과 가족친화적 운영체계 마련을 촉구했다.
박진수 의원은 “지난 6월 언론보도를 통해 도시철도 역사 내 수유실의 관리 부실과 접근성 문제가 지적된 이후, 부산교통공사가 관리 기준을 정비하고 일부 개선조치를 추진한 것으로 알고 있다”며, “이제는 이러한 노력이 실제 현장에서 시민이 체감할 수 있는 변화로 이어지고 있는지 점검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부산교통공사에 따르면 현재 1~4호선 109개 역사(환승역 5곳 제외)에 수유실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 중 전용수유실은 30개소(27.5%), 겸용시설은 79개소(72.5%)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기저귀 갈이대 비치율은 7.3%, 필수물품 비치율은 63.3% 수준으로 청결·안전·편의 등 기본요소가 충분히 갖춰졌다고 보기 어렵다.
박 의원은 “도시철도 전 역사에 수유실이 설치된 점은 의미가 있지만, 이용자 입장에서 체감할 수 있는 품질 향상과 이용 편의 개선은 여전히 미흡하다”고 지적했다.
이어 “부산교통공사가 수유실 관리 표준 가이드라인을 마련하고 청결관리 및 위치 안내 개선을 추진하고 있는 점은 긍정적인 변화”라며 “앞으로는 ▲역사별 유휴공간을 활용한 수유실 확충 및 전용수유실 비율 확대, ▲남성 보호자도 이용할 수 있는 가족수유실 확충, ▲역사 내 안내표지와 홈페이지 정보 표기의 통합관리체계 구축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박 의원은 “보건복지부가 운영하는 ‘수유정보알리미’ 시스템과 연계하여 정보의 정확성과 갱신 주기를 주기적으로 점검하고, 시민이 실시간으로 위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도 검토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박 의원은 “수유실은 단순한 편의시설이 아니라 부산이 ‘아이 키우기 좋은 도시’로 나아가기 위한 가장 기본적이고 필수적인 인프라”라며, “앞으로도 시민이 체감할 수 있는 이용환경 개선에 지속적으로 노력해 줄 것”을 당부했다.



























































